승강기 7대안전장치
정밀안전검사 관련 안내

하중시험을 위한 분동을 자체 준비하여야 합니다.
「승강기 설치검사 및 안전검사에 관한 운영규정」 제10조에 따라 하중시험에 필요한 분동을 준비하여야 합니다.
※ 분동을 준비하지 않아 정밀안전검사 하중시험이 불가한 경우 불합격 판정됨을 알려드립니다.
(제10조(안전검사의 일정 통보 등).
②제1항에 따른 안전검사의 일정 및 준비사항을 받은 자는 해당 검사일에 기술자들을 검사현장에 입회하게 하여 승강기의 운전 등을 하게 해야 하며, 수시검사 또는 정밀안전검사의 경우에는 하중시험에 필요한 분동을 준비해야 한다.
안전부품 및 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합니다.
종전의 완성검사를 받은 날부터 21 년이 지나 정밀안전검사를 세 번째 받는 승강기 (주택용 엘리베이터는 제외 )는
승강기부품 또는 장치를 추가하여 개정 기준에 따라 개선하여야 합니다.
※ 「승강기 설치검사 및 안전검사에 관한 운영규정』 부칙 제 2 조제 2 항
승강기 종류 | 승강기 안전부품 |
전기식 엘리베이터 | 1)승강장문 어린이 손 끼임 방지수단, 2)승강장문 조립체(이탈방지장치), 3)승강장문 비상가이드, 4)카 문 어린이 손 끼임 방지수단, 5)카의 상승과속방지수단, 6)카의 개문출발방지수단, 7)브레이크 시스템 및 8)자동구출운전수단 |
※ 1), 2), 3), 4), 8) => 수직 개폐식 문 방식의 경우 적용 제외 | |
유압식 엘리베이터 | 승강장문 어린이 손 끼임 방지수단, 승강장문 조립체, 승강장문 비상키 및 카 문 어린이 손 끼임 방지수단 (※ 수직 개폐식 문 방식의 경우 모두 적용 제외) |
에스컬레이터 (무빙워크 포함) | 주 브레이크, 보조 브레이크, 과속·역전방지수단, 스커트 디플렉터, 핸드레일 시스템 ※ 스커트 디플렉터 => 경사형/수평형 무빙워크 적용 제외 |
- 추가 개선 적용한 승강기 안전부품 및 장치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, 안전부품 별 예방가능한 사고와 관련하여
한국승강기안전공단 홈페이지의 기술자료(승강기부품 안전정보)에 게시되어 있습니다. - 추가로 적용하는 승강기부품이나 안전장치의 설치와 관련하여 제조사나 유지관리업체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.
- 조치기간 내 미조치 시 불합격으로 판정되어 승강기 운행정지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.
승강기검사기준 개정안내
승강기 설치검사 및 안전검사에 관한 운영규정 [부칙] 제3조 (판정기준의 경과조치)
②제1항에도 불구하고 종전의 완성검사를 받은 날부터 21년이 지나 정밀안전검사를 세 번째 받는 승강기의 경우로서
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승강기부품 또는 장치에 관한 정밀안전검사의 판정기준은 별표4의 개정규정을 따른다.
01 자동구출장치
엘리베이터 운행 중 정전시 제어반에 비상전원을 공급하여 탑승객을 안전하게 구출하는 장치
▶ 제품사진

▶ 위험요소

• 대규모 정전사태로 동시에 갇힘사고 시 승객구출 지연
02 승강장 문 이탈방지 장치
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문이 충격으로 인해 이탈하여 이용자가 승강로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
▶ 제품사진

▶ 위험요소

• 문에 기대는 승객 승강로로 추락 위험
• 전동휠체어 운전조작 미숙으로 승강로 추락 위험
03 전자- 기계 브레이크
엘리베이터 브레이크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주 브레이크 제동력 상실 시 작동되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중 안전장치
▶ 제품사진

▶ 위험요소

• 문에 기대는 승객 승강로로 추락 위험
• 전동휠체어 운전조작 미숙으로 승강로 추락 위험
04 로프 브레이크
엘리베이터가 규정 속도 이상으로 운행되거나 문이 열린 상태로 움직일 경우 주 로프를 강제적으로 제동하여
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치
▶ 제품사진

▶ 위험요소

• 문이 열린 상태로 출발하여 승객 끼임 위험
05 도어행거 (승강장문비상가이드)
엘리베이터 승강장 및 카의 문의 상부 레일에 설치되어 문을 여닫는 역할을 하며 , 이탈이 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합니다.
▶ 제품사진

▶ 위험요소

• 화재시 승강장 문 이탈 위험
• 마모 부식시 승강장 문 이탈 위험
06 손가락 끼임 방지 장치
엘리베이터 출입문과 문설주(Jamb) 사이에 고무 등 부드럽고 유연한 재질을 부착하여
손가락이 틈새에 끼이는 위험을 방지하는 장치
▶ 제품사진

• 아크릴
• 모헤어
▶ 위험요소

• 손가락 끼임 위험
• 무리하게 손을 뺄 시 신경손상 위험